어린이박물관 더해 재미 UP! 실록박물관 5월 1일 전관 개관

 국가유산청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관장 김정임)이 관람객 편의 증진 및 교육 기능 강화를 위한 시설 확충을 마치고 오는 5월 1일 강원 평창군 진부면에서 전관 개관한다. 박물관은 지난해 7월부터 임시 휴관에 들어가 디지털영상실과 어린이박물관 등 새로운 시설을 조성하며 관람객 맞을 준비를 해왔다.

 

이번 전관 개관을 통해 새롭게 선보이는 시설들은 박물관의 핵심 콘텐츠인 조선왕조실록과 의궤를 더욱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디지털 영상 시대에 발맞춰 조성된 디지털영상실에서는 조선왕조의 귀중한 역사 기록인 실록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오랜 세월 오대산사고에 보관될 수 있었는지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15분 분량의 영상 두 편을 상영한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실록의 가치와 보존 과정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

 

어린이박물관은 '숲속 임금님의 보물창고, 오대산사고'라는 흥미로운 주제로 꾸며졌다. 실록에 등장하는 고양이, 앵무새, 호랑이, 여우, 원숭이, 낙타, 코끼리 등 다양한 동물 캐릭터를 활용하여 어린이들이 실록과 의궤의 제작 과정 및 보관 방법 등을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놀이와 학습을 결합한 체험형 공간을 통해 어린이 관람객들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관 개관을 기념하는 특별전 '오대산사고 가는 길'도 5월 1일부터 7월 13일까지 약 두 달 반 동안 개최된다. 이번 특별전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던 중요한 장소인 오대산사고의 설립부터 운영, 그리고 쇠퇴에 이르는 역사를 깊이 있게 조명하는 자리다. 전시에서는 오대산사고와 관련된 40여 점의 귀중한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동여도와 관동명승첩 등 조선시대 지도와 화첩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오대산사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문화적으로 접근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점이 흥미롭다. 또한, 실록의 습기 제거를 위해 주기적으로 책을 말리는 작업인 '포쇄' 이후 추사 김정희가 강릉 오죽헌에 남긴 방명록 '심헌록'이 이번 전시를 통해 국민에게 최초로 공개되어 역사적 의미를 더한다. 포쇄는 임진왜란 이후 국가 중요 도서를 보관하기 위해 산속 깊은 곳에 마련된 외사고의 서적 관리를 위해 사관들이 수행했던 중요한 작업이다.

 

국가유산청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은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민관의 끈질긴 노력으로 110여 년 만에 환수된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의 원본을 국민에게 직접 선보이는 국내 유일의 전문박물관이다. 2023년 11월 처음 문을 열었던 박물관은 이번 전관 개관을 통해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콘텐츠로 관람객들에게 조선왕조 기록문화의 가치와 역사를 생생하게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