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외인 대신 터진 롯데 이민석, '김태형 배팅' 통했다!

이날 경기는 이민석 개인에게는 물론, 롯데 전체 팀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시험대였다. 최근 롯데는 1선발 찰리 반즈가 기대 이하의 경기력을 보이고 있는 데다, 부상으로 장기간 이탈하면서 김태형 감독은 “우리 팀에는 1선발이 없다”며 우려를 드러냈다. 현실적으로 선발 투수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민석은 팀이 기대를 걸 수밖에 없는 카드였고, 이날 그의 투구는 그 믿음에 정확히 부응했다.
1회부터 인상적인 피칭이 이어졌다. 선두타자 황재균을 직구 3개로 삼진으로 돌려세운 뒤, 멜 로하스 주니어를 상대로는 불리한 볼카운트에서도 빠른 공과 슬라이더로 범타 처리하며 주도권을 잡았다. 2회와 3회에는 위기도 있었지만 침착하게 위기를 넘기며 6이닝을 소화했다. 특히 3회 2사 만루에서 강백호를 2루 땅볼로 잡아내는 장면은 그의 위기관리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이민석의 이날 투구는 직구와 슬라이더 위주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완성도가 높았다. 여기에 지난 겨울 보완한 체인지업을 효과적으로 섞으며 KT의 강타자들을 상대로 효율적인 승부를 펼쳤다. 최고 시속 155km에 달하는 직구와 날카로운 슬라이더의 조합은 단순한 무기 구성을 넘어 상대 타자들의 타이밍을 완전히 빼앗는 수준이었다. 6회 실책과 볼넷으로 만루 위기를 맞았을 때도 흔들림 없이 대타 장진혁을 2루 땅볼로 처리하며 첫 퀄리티 스타트를 달성했다.
이민석의 호투는 시즌 초반부터 흔들리고 있는 롯데 마운드에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소식이다. 찰리 반즈의 장기 이탈로 외국인 원투펀치 전략이 무너진 상황에서, 기존 선발 자원은 박세웅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대안을 찾기 어려웠다. 이민석은 5월 5일 SSG전에서 시즌 첫 선발로 나서 5이닝을 책임지며 가능성을 보였고, 이날 경기를 통해 더욱 확실한 믿음을 심었다. 특히 롯데가 3회까지 0-6으로 밀렸던 경기를 김강현과 정우준 두 명의 불펜만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민석의 효율적인 이닝 소화 덕분이다.
이민석은 2022년 KBO 신인드래프트에서 롯데의 마지막 1차 지명 선수로 입단한 유망주다. 부산수영초, 대천중, 개성고를 거쳐 프로 무대에 입성한 그는 파이어볼러로서 빠른 공과 제구력을 겸비한 기대주였다. 그러나 입단 후 오른팔 뼛조각 제거술과 인대 재건술을 받으며 재활에 긴 시간을 보내야 했다. 2023년 마운드에 복귀한 뒤 점차 구위를 회복하며 지난해 10월 KIA와의 연습경기에서도 3이닝 무실점으로 인상적인 투구를 펼쳤다.
이날 경기 후 이민석은 “특별히 길게 던지려는 목표는 없었고, 매 이닝을 잘 막자는 생각만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내가 잘 던진 것보다 팀이 이기지 못한 것이 더 아쉽다. 이번 경기에서 좋았던 점을 되새기고 다음에도 좋은 투구를 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롯데는 외국인 투수 데이비슨, 박세웅 외에 안정적인 선발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민석의 호투는 팀 구성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날 무승부로 끝난 경기였지만, 그 안에 담긴 22세 유망주의 성장 스토리는 단순한 결과 이상의 의미를 남겼다. 앞으로의 경기에서도 이민석이 꾸준한 활약을 이어간다면, 롯데는 마운드 운영에 숨통을 틔우는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가능성도 한층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