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00만 원 임대료 폭탄에... 부산 유일 노동자 작업복 세탁소 '휘청'

2020년 11월 강서구 미음산업단지에 문을 연 이 공동세탁소는 서부산 지역 84개 기업의 작업복을 세탁하고 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세탁기와 건조기 각 5대를 갖추고 한 달 평균 8,400벌의 작업복을 처리하며, 춘추복 500원, 동복 1,000원이라는 저렴한 요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동세탁소는 강서구지역자활센터가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영 중이다. 이 사업은 서부산 노동자들의 작업복 세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합이 부산시와 고용노동부의 '산업단지 환경개선사업 정부합동공모'에 지원해 선정된 것이다. 작업복에 묻은 기름때와 세균 감염 우려로 일반 세탁소들이 기피하고, 쇳가루 때문에 가정에서 세탁하기도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사업이었다.
운영은 자활센터가 국비 지원을 받아 진행해왔으며, 지난해 기준 2억 8,000만 원을 지원받아 그중 80%를 10명의 인건비로 사용했다. 그러나 당초 하루 2,000벌 세탁을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그 25% 수준인 500벌 정도만 처리하고 있어 수입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작업복 특성상 세탁기 고장이 잦아 지난해에만 수리비로 500만 원 가량을 지출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세탁소가 위치한 건물의 소유권이 조합에서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면서 내년부터는 월 200만 원 수준의 임대료까지 추가로 부담해야 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러한 위기 상황은 사업 초기에 공동세탁소 관련 시 조례 등 제반 여건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당시 공모사업에 선정됐음에도 운영 지속성을 보장할 공공건물을 확보하지 못했고, 국비를 반납할 위기에 처하자 급히 조합 소유 건물에 세탁소를 설치했다. 그 과정에서 관련 지원 조례도 마련하지 못했고, 10월 이후의 운영 방안도 사업계획서에 담지 못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서둘러 지원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6개 광역·기초지자체가 작업복 세탁소 관련 조례를 두고 있으며, 대부분 운영 경비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현재 동부산에서도 작업복 세탁소 설립 요구가 있는데, 서부산 세탁소가 존립 위기를 맞으면 동부산 세탁소 계획도 탄력을 받지 못할 우려가 크다"며 "이를 위해서라도 공론화 과정을 거쳐 조례를 만들 필요가 있다. 공공 건물 확보 등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10월 말 위탁계약이 만료되는 가운데, 이 공동세탁소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