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의 '영남 빼앗기' 전략에 무너지는 보수 텃밭

그러나 이제 이마저도 위태롭다. 한국갤럽의 6월 통합 여론조사에 따르면 PK 지역에서 국민의힘(27%)은 민주당(36%)에 뒤처졌다. 7월 첫째 주 정기조사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가 PK 지역에서 '잘하고 있다' 60%, '잘못하고 있다' 26%로 나타났다. TK 지역에서도 긍정 평가(56%)가 부정 평가(26%)를 크게 앞섰다. 이는 대선 당시 이 대통령이 PK 지역에서 40% 안팎, TK 지역에서 20% 초반의 득표율을 얻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아진 수치다.
이재명 정부는 영남권, 특히 PK 지역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지시했고, 12월까지 이전을 앞당기라는 추가 지시까지 내렸다. 해사법원 설립, HMM 등 해운사 유치 등 '해양 수도' 비전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부산 가덕도 피습 사건 이후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되며 생긴 '부산 의료 무시' 논란과 산업은행 이전 반대에 따른 반발을 달래기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PK 지역은 민주당이 '전국 정당'이 되기 위한 마지막 퍼즐이다. 민주당은 이미 충청 지역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고, 이제 PK 지역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많은 친노 정치인들이 PK 지역에 도전했고, 2016년과 2020년 총선에서 각각 6석, 7석을 확보했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부산에서 1석만 가져갔지만, 평균 45.1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당의 비수도권 공략은 정책에서도 드러난다. 최근 통과된 추경안에서 민주당은 비수도권 주민에게 3만 원을 추가 지급하는 안을 관철시켰다. 이 대통령은 취임 한 달 동안 호남과 충청에서 타운홀미팅을 열었고,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 참석하는 등 비수도권 행보를 이어갔다.
반면 국민의힘은 TK 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똘똘 뭉치며 수세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TK 지역 주류 의원들과 김재섭·김용태 등 수도권 30대 의원들 간 갈등은 당이 직면한 현실을 보여준다. 국민의힘은 역사적으로도 열세 지역으로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시도한 적이 거의 없다.
현재 국민의힘을 주도하는 60여 명의 의원 중 58명이 영남 지역구 의원이다. 이들은 영남 기득권에 기대어 한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2018년 지방선거에서 보았듯 '텃밭'이라도 민심은 언제든 떠날 수 있다. 당시 민주당은 부산시장을 비롯해 16개 기초단체장 중 13곳, 42개 시의원 선거구 중 38곳에서 승리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PK 지역은 물론 TK 지역마저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