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위해 마신 제로콜라, 알고보니 '당뇨병 폭탄'... 설탕보다 위험하다!

 다이어트를 위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가 첨가된 '제로 콜라' 같은 음료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음료가 오히려 일반 설탕 음료보다 당뇨병 발병 위험을 더 크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모나시대학교, RMIT(로열 멜버른 공과대학교), 빅토리아 암 협회가 공동으로 진행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40~69세 호주 중장년 3만6608명을 14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인공감미료가 첨가된 음료를 하루에 한 잔만 마셔도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38%나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설탕 음료를 같은 빈도로 마신 사람들의 위험 증가율(23%)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체중 요소를 분석에 포함시켰을 때 나타난 차이다. 설탕 첨가 음료의 경우, 체중을 고려하자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사라졌다. 이는 설탕 음료가 직접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하기보다는 '설탕 음료 섭취 → 열량 과다로 인한 비만 → 인슐린 저항성 → 당뇨 위험 증가'라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인공감미료 음료는 체중을 감안하더라도 당뇨병 발병 위험과의 연관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인공감미료가 체중과 무관하게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모나시대학 영양학자 로벨 후센 캅티머 박사는 "인공감미료가 설탕보다 건강한 대체재라는 통념이 있지만, 이번 결과는 그 자체로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인공감미료가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 메커니즘으로 여러 생물학적 경로를 제시했다. 인공감미료는 장내 미생물 교란, 포도당 대사 이상, 인슐린 반응 변화 등을 유발하여 체중 증가 없이도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도 아스파탐이 설탕과 유사한 식후 인슐린 반응을 유발하고, 사카린과 수크랄로스가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유익균 감소, 유해균 증가)를 통해 포도당 내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MIT의 생물의학 과학자 바보라 드 쿠르텐 교수는 "인공감미료는 당뇨병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건강한 대안으로 권장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인공감미료 자체가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또한 "인공감미료 첨가 음료는 종종 건강에 더 좋다고 홍보되지만 그 자체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향후 정책은 모든 제로 칼로리 음료의 섭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 보다 광범위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건강을 위해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제로' 음료가 반드시 건강에 더 좋은 선택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