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린가스 테러’ 모티브 심리극, 한국 무대 첫선

 극단 사개탐사와 작가 김민정, 연출가 박혜선이 협력하여 2025년 가을, 새로운 미스터리 심리극 ‘마지막 면회’를 한국에서 초연한다. 이 작품은 2024년 10월 일본 도쿄 나토리 씨어터에서 세계 초연을 거친 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사업 선정작으로 9월 12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연우소극장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한국에서는 처음 무대에 오르는 이번 공연은 극단 사개탐사가 일본 현지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작품을 한국 관객들에게도 소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마지막 면회’는 1995년 일본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던 ‘지하철 사린가스 테러 사건’을 모티브로 삼았다. 당시 도쿄 지하철에서 발생한 이 사건은 사린가스라는 신경작용 독극물이 방출되며 무고한 시민 수십 명이 목숨을 잃거나 중상을 입은 참사로, 일본 사회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극은 이 사건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인 하야시 야스오를 모티브로 한다. 하야시는 22년간의 수감생활을 거쳐 2018년 사형이 집행된 인물로, 이 작품은 그의 사형 집행을 앞둔 시점과 그를 면회하기 위해 찾아온 젊은 여인의 만남을 무대에 담았다.

 

연극의 배경이 되는 면회실은 극중 인물들이 오직 서로에게 집중할 수밖에 없는 좁고 폐쇄된 공간이다. 이곳에서 두 사람은 격렬한 신념의 대립과 더불어 각자의 내면 깊숙한 곳에 감춰진 진실을 마주한다. 이들의 대화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진행되고, 관객은 예상치 못한 순간에 폭발하는 감정과 숨겨진 비밀을 접하면서 인간 존재의 근본적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극은 개인의 신념과 정체성, 그리고 그 신념이 불러일으키는 선택과 책임의 무게를 집요하게 탐구한다.

 

특히 ‘마지막 면회’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하야시 야스오가 재일 조선인이라는 점을 통해 사회적 배제와 정체성 혼란이라는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버블경제의 붕괴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했던 1990년대 일본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주인공은 정체성의 혼란과 사회적 고립을 겪으며 점차 맹목적 신념에 빠져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이 겪는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문제는 서로 얽히며 비극적인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이 같은 주제는 일본 사회에만 국한되지 않고, 현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사이비 종교 문제와 사회적 소외 문제와도 깊은 연관을 맺고 있어 관객들에게 시의적절한 메시지를 던진다.

 

일본에서의 초연 당시 이 작품은 심리적 공황과 사이비 종교 문제를 섬세하게 결합한 미스터리 심리극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한국 초연을 맡은 박혜선 연출가는 섬세한 심리 묘사와 긴장감 넘치는 연출력으로 작품을 재해석한다. 그녀는 무대 공간의 제한된 환경을 극대화하여 인물 간의 갈등과 심리적 대립을 극명하게 표현함으로써 관객들이 극에 완전히 몰입하도록 이끈다. 또한 무대의 미니멀리즘과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를 통해 관객들이 내면의 깊은 감정을 직접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번 작품에는 박완규, 박희정, 이주협, 전형재 등 실력파 배우들이 출연해 극의 무게를 더한다. 이들은 각기 복잡한 내면을 가진 인물들을 생생하게 구현해내며, 관객들에게 심리극이 주는 긴장감과 몰입감을 선사할 예정이다. 극본은 김민정 작가가 맡아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조화롭게 엮어 내면서,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깊이 있게 그려냈다. 러닝타임은 약 90분이며, 관람 등급은 12세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티켓 가격은 전석 3만원이다.

 

‘마지막 면회’는 과거 일본 사회의 참혹한 사건을 소재로 삼아, 인간의 신념과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배제 문제를 깊이 파헤치는 작품이다.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가스 테러라는 역사적 배경을 통해 개인과 사회가 맞닥뜨리는 갈등을 극적으로 그려내며, 관객들에게 묵직한 감동과 긴장감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쇄된 공간에서 펼쳐지는 두 인물의 대화는 각자의 내면 세계를 탐색하는 여정이자, 과거의 상처와 화해하는 과정으로서 한국 관객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남길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은 사회적 소외와 맹목적 신념이 만들어낸 비극을 경고하며, 사이비 종교 문제로 인한 사회 갈등과 인권 문제에 대한 성찰을 촉구한다. ‘마지막 면회’는 단순한 극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심리극으로서, 현대 사회가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예술적 형태로 담아내고 있다. 2025년 가을, 이 작품은 심리극과 미스터리극을 사랑하는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과 사유의 시간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