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사적 카페'로 쓴 김건희, 의친왕 후손들 '격노'

의친왕기념사업회는 27일 이준 회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저희 직계 조상님을 모신 사당이자 국가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종묘는 한 개인이 지인들에게 폼 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카페가 아니"라며 김 여사에게 국민 앞에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이 회장의 할아버지인 의친왕은 고종의 둘째 아들로 독립운동에도 참여한 인물이다.
이번 논란은 지난해 9월 3일 김 여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에서 외부인들과 차담회를 개최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차담회가 일반인 관람이 불가능한 휴관일에 진행됐고, 차를 마신 공간인 망묘루가 평소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구역이라는 점이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의원이 26일 추가로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김 여사는 소방차 등 필수 차량만 이용할 수 있는 소방문을 통해 차량으로 출입했으며, 망묘루에는 냉장고를 설치하고 CCTV를 꺼두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의친왕기념사업회는 "종묘 휴관일에 비공개 구역 망묘루에서 사적 찻자리를 가진 것은 스스로 대한민국의 국격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종묘를 신성시하고 경건한 자세로 여기는 직계 후손들은 국가원수 부인의 이러한 행동에 크게 개탄을 금치 못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망묘루의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며 "조선왕조 시대 임금님들조차도 예를 갖추며 선조들을 생각하던 신성한 곳"이라며 "지인들과 깔깔대며 담소를 나누는 자리로 삼아선 안 되는 곳"이라고 지적했다.
의친왕기념사업회는 김 여사의 위치에 대해서도 "대통령 영부인은 왕조 시절 왕후나 대비마마가 아니"라며 "위대한 국민들이 뽑은 단기 선출직 공무원인 대통령의 부인"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종묘가 남편이 뽑아준 국가유산청장한테 명령하고 언제든 궁궐의 가구를 가져다가 세팅하고 지인들과 차 마셔도 되는 곳이냐"며 반문했다.
또한 "누가 김 여사에게 신성한 종묘에서 휴관일에 전세 낸 것같이 지인들 불러다 차 마실 권한을 줬냐"고 따져 물으며, "대통령 부인이 국가의 문화재 공간들을 자기 것처럼 마음대로 쓸 수 있다고 착각한다면 큰 오산"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의친왕기념사업회는 김 여사에게 정식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논란은 국가 문화유산의 사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국민적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대통령 부인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