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30대인데 벌써?"…증상도 없이 당신의 무릎은 이미 망가지고 있다

 "무릎이 시큰거린다"는 푸념을 그저 '나이 탓'으로 돌리던 시대는 지났다. 한때 노화의 자연스러운 징표로 여겨졌던 무릎 통증이, 이제는 30대와 40대의 젊은 층을 무섭게 공격하는 '현대 질병'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고민이 아닌, 당신의 이야기가 될 수 있는 '젊은 무릎의 비명'에 주목해야 할 때다.

 

최근 발표된 통계와 연구 결과들은 이 현상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미국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40대에서 60대 초반 환자의 무릎 인공 관절 치환술이 무려 240%나 폭증했다. 전문가들은 이 충격적인 수치의 배후로 두 가지 핵심 요인을 지목한다. 바로 현대인의 '높아진 체질량지수(BMI)'와 '고강도 스포츠' 열풍이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무릎 속 '시한폭탄'은 아무런 증상 없이 30대부터 이미 작동을 시작한다는 점이다. 핀란드 오울루대학 연구팀의 최신 연구는 이 섬뜩한 현실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연구팀이 특별한 증상이 없는 30대 참가자 297명의 무릎을 정밀 검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인원에서 이미 연골이 손상되거나 닳아 없어지는 '연골 결손'이 발견되었다. 심지어 절반 이상에게서는 뼈가 비정상적으로 자라나는 '뼈 박차' 현상까지 관찰됐다. 통증이라는 자각 증상이 없었기에, 이들은 자신의 무릎이 서서히 망가져 가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비정상적인 변화의 가장 큰 원인 역시 '높은 체질량지수'였다.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도를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다. 랜 슈워츠코프 뉴욕대 의대 교수는 "비만은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린다"며 "무릎에 지속적으로 과부하가 걸리면서 연골의 마모가 훨씬 빠르게 진행된다"고 경고한다. 단순히 서 있는 것만으로도 정상 체중의 사람보다 몇 배의 압력을 무릎으로 견뎌내야 하는 셈이다.

 

여기에 젊은 시절의 무리한 운동은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다. 특히 고등학교나 대학 시절, 경쟁적인 스포츠에 참여하며 얻은 부상은 평생의 '족쇄'가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스포츠로 인한 외상성 부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악화된다"고 입을 모은다. 수술이나 비수술적 치료를 받더라도 한번 손상된 연골은 완벽하게 복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젊은 날의 부상과 방치된 비만이 상승 작용을 일으켜 연골을 점차 갉아먹고, 결국 통증과 장애를 동반하는 골관절염으로 이어지며, 그 종착지는 '인공관절'이라는 차가운 수술대 위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최종 경고다. 무심코 넘겼던 체중계의 숫자와 젊은 날의 운동 기록이, 당신의 미래 무릎 건강을 좌우하는 결정적인 열쇠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