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담배보다 더 많이 피우게 되는 '전자담배 중독'의 덫

 '몸에 덜 해롭다', '금연으로 가는 징검다리'라는 달콤한 이미지로 포장된 전자담배. 많은 흡연자들이 일반 담배(궐련)의 대안으로, 혹은 금연을 위한 중간 단계로 전자담배를 선택하지만, 그 믿음의 발등을 찍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전자담배가 오히려 니코틴 의존도를 더욱 심화시키는 '중독의 덫'이 될 수 있다는 경고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한국금연운동협의회가 진행한 '신종담배 확산에 따른 흡연정도 표준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는 이 위험한 진실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연구팀은 전국의 만 20~69세 흡연자 800명(궐련 단독 400명,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혼용 200명)을 대상으로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를 심층 분석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니코틴 중독의 심각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는 '아침에 눈을 뜬 후 첫 담배를 피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잠자는 동안 떨어진 혈중 니코틴 농도를 참지 못하는, 즉 중독이 심하다는 의미다. 조사 결과, '기상 후 5분 이내에 흡연한다'고 답한 비율이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에게서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26%)와 일반 담배 사용자(18.5%)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더 안전하다'고 믿었던 전자담배 사용자들이 사실은 아침에 눈 뜨자마자 니코틴을 찾을 만큼 심각한 중독 상태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하루 흡연량을 비교했을 때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일반 담배 사용자는 '하루 11~20개비'를 피운다는 응답이 45.8%였지만,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무려 51%가 '하루 11~20개비'를 사용한다고 답해 사용량이 더 많았다.

 

더 큰 문제는 신종담배의 특성상 현재의 '중독 측정 잣대'로는 이들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조차 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기존의 금연클리닉 등에서 사용하는 파거스트롬 테스트와 같은 표준 평가 도구는 '개비' 단위로 소비하는 일반 담배에 맞춰져 있다. 하지만 전자담배는 사용 횟수, 흡입 시간, 니코틴 용액의 농도 등 고려해야 할 변수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다. 이 때문에 현재의 평가 도구로는 전자담배 사용자의 니코틴 의존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과적인 금연 계획을 세워주기 어렵다는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 것이다.

 

결국 '덜 해롭다'는 막연한 이미지와 달리, 전자담배는 더 깊은 니코틴의 늪으로 사용자를 끌어당길 수 있으며, 정작 금연을 결심해도 제대로 된 도움을 받기 어려운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신종담배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표준 평가지표를 시급히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전자담배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걷어내고, 그 중독의 실체를 직시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