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대도서관의 사인, 당신의 '의자'가 보내는 소리 없는 경고

고인의 전 배우자이자 유족의 부탁으로 상주를 맡았던 BJ 융댐(본명 이채원·40)은 10일, 개인 방송을 통해 "부검 결과 최종적으로 뇌출혈로 판명됐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녀의 설명에 따르면, 대도서관은 최근 혈압이 다소 높아 약을 챙겨 먹어야겠다는 이야기를 나눈 적은 있으나, 평소 극심한 두통을 호소하거나 특별한 전조 증상은 없었다. 2년 전 건강검진에서도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기에, 뇌혈관 정밀 검사인 MRA 촬영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결국 뇌 속에 숨어있던 '시한폭탄'인 뇌동맥류(꽈리)를 미리 발견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의료계는 그의 사망 원인을 뇌혈관 벽이 약해져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뇌동맥류'가 파열되면서 발생한 '지주막하출혈'로 강력하게 추정하고 있다. 지주막하출혈은 뇌를 감싸는 지주막 아래 공간에 피가 터져 나오는 질환으로, 뇌압을 급격히 상승시켜 "벼락이 내리치는 듯한", "살면서 처음 겪는 최악의 두통"으로 표현되는 극심한 고통과 함께 구토, 의식 저하 등을 유발하는 매우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 비극의 방아쇠를 당겼을까? 대도서관의 사망 이후, 그가 생전 방송에서 종종 "심장 쪽이 찌릿하다"고 말했던 점 때문에 일각에서는 심근경색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융댐은 "고인의 아버지는 심근경색이 아닌 간경화로 돌아가셨다"고 밝히며 유전적 심장 질환 가능성을 일축했다.

대신 전문가들은 그의 직업적 특성인 '장시간의 좌식 생활'을 위험 요인으로 주목하고 있다. 그는 사망 직전인 8월 말부터 매일 9시간이 넘는 마라톤 생방송을 진행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수많은 연구 결과는 좌식 시간이 길어질수록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특히 혈관이 터지는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경고한다.
실제로 하루 11시간 이상 앉아서 생활할 경우, 그 이후 매 1시간마다 뇌졸중 위험이 약 21%씩 높아진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물론 좌식 생활 자체가 뇌동맥류를 직접적으로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장시간 앉아있는 습관은 고혈압, 비만, 동맥경화와 같은 치명적인 매개 요인들을 유발하고 악화시킨다. 이렇게 병든 혈관은 결국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파열될 위험이 간접적으로, 하지만 매우 크게 높아지는 것이다.
작년 미국 심장학회 저널(JSACC)에 실린 연구는 더욱 섬뜩한 사실을 보여준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아무리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이라도 하루에 앉아있는 시간이 10.6시간을 넘어가면, 그보다 적게 앉아있는 그룹에 비해 심부전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각각 45%, 62%나 치솟았다. 이는 운동만으로 장시간 좌식 생활의 위험을 상쇄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대도서관의 비극은 개인의 불운을 넘어, 모니터 앞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 모두에게 보내는 처절한 경고다. 전문가들은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하루 총 앉아있는 시간을 10.6시간 미만으로 줄이고, 최소 30~60분에 한 번씩은 자리에서 일어나 가볍게 걷거나 스트레칭을 하며, 주 150분 이상의 중등도 운동을 통해 신체 활동을 의식적으로 늘려야 한다고 강력히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