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축제? 돈꽃축제! 한강 명당은 지금 '억' 소리 나는 전쟁 중

 서울세계불꽃축제를 불과 닷새 앞두고, 축제 본연의 의미가 퇴색될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무료로 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해야 할 대규모 행사가 일부 상인과 개인의 '명당 장사'로 변질되면서, 축제를 둘러싼 상업화 논란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지난 22일 한 언론사의 보도에 따르면, 오는 27일 개최되는 서울세계불꽃축제 당일,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의 숙박 시설과 개인 공간들이 터무니없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축제 명당을 선점하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시장의 원리를 넘어선 과도한 가격 책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000년에 시작되어 매년 100만 명 이상의 인파가 몰리는 서울세계불꽃축제는, 1년 중 단 하루 펼쳐지는 이 장관을 최고의 시야에서 관람하려는 열망이 매년 반복되는 '프리미엄' 현상을 낳고 있다. 특히 한강 조망이 가능한 호텔 객실은 그야말로 '부르는 게 값'이 되어버렸다.

 

실제로 숙박 예약 사이트를 통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평소 100만 원대였던 여의도 한강 조망 호텔 객실은 축제 당일 300만 원까지 치솟아 약 3배의 가격 인상을 보였다. 심지어 불꽃이 직접 보이지 않는 시티뷰 객실조차 주말 평균 요금의 2~3배에 달하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여의도의 한 고급 호텔 스위트룸은 세금과 수수료를 포함해 1박에 무려 1300만 원이라는 경이로운 가격에 판매되기도 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한강 조망 객실은 이미 매진된 상태다.

 

문제는 이러한 '명당 장사'가 호텔이나 상업 시설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반 시민들까지 중고거래 앱과 SNS를 활용해 개인 간의 '명당 거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자신이 예약한 용산 고급 호텔의 1박 숙박권을 160만 원에 양도하거나, 정가 35만 원짜리 객실을 90만 원에 판매하겠다는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숙박권 외에도 카페 예약권, 주차권 등 불꽃축제 관람과 관련된 모든 편의가 상업화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강 인근 프랜차이즈 카페의 예약권은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10만 원에 판매되며, "카페 예약 티켓 구매 후, 한강 불꽃놀이 편하게 직관하세요"라는 노골적인 홍보 문구까지 등장했다. 또 다른 게시물에서는 '명당 주차장 10시간 주차권'을 내세워 차량 안에서 불꽃놀이를 관람하라는 안내가 담겨 있다. 업종과 장소를 불문하고, 불꽃놀이를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볼 수 있는 모든 공간에 '웃돈'이 붙어 거래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충격을 주는 것은 '우리 집 베란다 대실'과 같은 게시물이다. 불꽃축제 명당으로 꼽히는 한강변 아파트 최고층에 거주한다고 밝힌 한 작성자는 "4명은 충분히 여유 있는 명당 최고층을 2인 기준 48만 원에 대여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심지어 '불꽃놀이 명당 노숙 대행'이라는 게시물까지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지난 16일, "전날 밤부터 텐트를 쳐서 명당을 확보해주겠다"며 게시글을 올린 한 작성자는 "새벽부터 줄 설 필요 없이 편하게 오셔서 관람하실 수 있는 자리"라며, 마포대교와 원효대교 사이의 시야가 탁 트인 명당을 미리 확보해 주는 대가로 15만 원에서 18만 원에 달하는 금액을 요구했다.

 

이처럼 도시 전체가 무료로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축제가, 사실상 '유료 명당 경쟁'이라는 사익 추구의 장으로 변질되면서 시민들의 불만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불꽃축제는 무료인데, 이익은 호텔과 아파트 주민이 본다", "누구나 즐기라고 있는 축제가 상업화됐다", "자리 경쟁이 너무 과열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공공의 축제가 소수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축제의 본질적인 가치와 의미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